프로그램 실행 시 운영체제는 우리가 실행시킨 프로그램을 위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함. 대표적으로 코드, 데이터, 힙, 스택 4가지가 있다. 01. 코드 (Code) -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. - 기계어의 형태로 저장, 컴파일 타임에 결정되고, 중간에 코드를 바꿀 수 없게 Read-Only로 지정. - 텍스트 영역이라고 불린다. - CPU는 코드 영역에 저장된 명령을 하나씩 가져가서 처리. -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종료될 때 가지 메모리에 계속 남는다. 02. 데이터 (Data) - 전역변수, static(정적)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. - 전역변수, static 값을 참조한 코드는 컴파일 하고 나면 Data 영역의 주소값을 가르키도록 바뀐다. - 실행 중도에 전역변수가 변경될 수 있으니 이 ..
SSL -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. - 프로토콜은 처음에 Netscape사에서 웹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보안을 위해 만들었습니다. - Certificate Authority(CA)라 불리는 서드 파티로두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인증을 하는데 사용됩니다.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혹은 신원에 대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암호화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. 그렇다면 단순히 암호화한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할 수 있을지? 그렇지 않습니다. 단순 암호화만을 통해 잘못 설계된 프로토콜의 경우 재생을 통해 공격당할 수 있습니다. 그 내용은 모르더라도 관찰된 통신 내용을 동일하게 재생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. 따라서 단순한 암호화 외에 암호화 통신을 할 때 여러가지 정보를 포함하여..
-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무언가를 전달할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 01. GET - 가져오는 것. - URL (주소줄) 값에 ?뒤에 데이터가 Key, Value쌍으로 이어붙어서 보내집니다. - ex) hamdi.tistory.con?id=seung&page=2&type=stts - 위에서 본 ex와 같이 데이터가 여러개일때 &로 구분이 됩니다. -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합니다. - 전송하는 길이에 제한이 있습니다. - 데이터를 Header에 포함하여 전송합니다. - URL에 이어 붙기때문에 길이제한이 있어서 많은양의 데이터는 보내기 어렵습니다. - Select적인 성향.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주는 용도로 많이 쓰입니다. - HTTP/1.1 스팩인 RFC2616의..
웹에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? -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. 1) Connectionless 프로토콜 (비연결지향) 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(Request)을 했을 때 그 요청(Request)에 맞는 응답(Response)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 방식입니다. 2) Stateless 프로토콜 (상태정보 유지 안함) -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입니다. -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,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습니다. 01. Cookie (쿠키) 개념 -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. - 위에 말한 로컬이 사용자의 컴퓨터를 이야기합니다...
//소수타입 전역변수 선언 double mathDouble = 36.142; 1) Math.floor() - 내림 - Math.floor(mathDouble); - 결과값 : 36.0 2) Math.ceil() - 올림 - Math.ceil(mathDouble); - 결과값 : 37.0 3) Math.round() - 반올림 - Math.round(mathDouble); - 결과값 : 37 4) Math.max() - 최대값 - Math.round(mathDouble, 38.6); - 결과값 : 38.6 - 다음 2가지 수 중 38.6이 더 크므로 더 큰 숫자를 반환한다. 5) Math.min() - 최소값 - Math.round(mathDouble, 38.6); - 결과값 : 36.142 - 다음 2가..